콘텐츠 소비에서 콘텐츠 창조로 넘어가기: 감각을 되찾고 생각을 다시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과정
우리는 매일 아침 눈을 뜬 순간부터 수많은 자극 속에 연결된다. 알람을 끄기 위해 스마트폰을 잡은 손은 자연스럽게 화면을 밀고, 소식과 피드, 메시지와 추천 영상이 하루의 문을 연다. 아직 정신은 깨어나지 않았는데, 정보는 이미 밀려들어온다. 이때부터 우리는 ‘반응’하는 상태로 하루를 시작한다. 그리고 출근길. 버스 창가에 앉아도, 지하철 손잡이를 잡아도, 우리의 시선은 언제나 손바닥 위 작은 화면으로 향한다. 머리속에는 생각이 흐를 공간이 없다. 마음속에는 감정이 가라앉을 시간이 없다. 뇌는 원래 깨어나는 데 시간이 필요하다. 마음은 원래 하루를 받아들일 준비를 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그 시간을 잃었다. 너무 많은 정보가 너무 빠르게 들어오기 때문이다. 나 또한 그랬다. 출근길은 늘 ‘없던 시간’처럼 흘러갔다. 스마트폰을 켜고, 영상을 보고, 메시지를 확인하고, 뉴스 헤드라인을 소비하며 하루의 첫 리듬은 이미 산만함으로 결정되고 있었다. 그 산만함은 업무 중 집중력 저하로, 불필요한 감정 소모로, 그리고 이유 없는 피로로 이어졌다. 그러던 어느 날 퇴근길, 지하철 차창 유리에 비친 내 얼굴을 봤다. 나는 생각보다 지쳐 있었다. 아무 일도 하지 않았는데도, 계속 자극받은 상태로 하루를 끝내고 있었다. 그때 마음속에 아주 작은 생각이 떠올랐다. “혹시 출퇴근 시간만 바꾸면 하루가 달라지지 않을까?” 그 생각은 의외로 오래 남았다. 그래서 나는 출퇴근 시간 스마트폰 대신 독서하기라는 실험을 시작했다. 거창한 의지가 있는 것도 아니었고, 거대한 변화가 필요했던 것도 아니었다. 그저 마음을 다시 내 손에 되돌리고 싶었다.
처음에는 손의 기억이 나를 이끌었다. 지하철 좌석에 앉는 순간, 손은 자연스럽게 주머니 속 스마트폰을 찾았다. 생각보다 깊숙한 습관이었다. 그러나 나는 책을 꺼내 손바닥 위에 올려두었다. 책의 무게는 화면보다 무거웠지만, 그 무게는 마음을 천천히 눌러주었다. 3일차 : 뇌가 긴 문장을 버거워한다는 것을 느꼈다. 그동안 지속적인 주의 집중을 거의 쓰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버거움은 곧 회복의 신호였다. 잠시 멈춰 숨을 들이쉬고 다시 문장을 따라가다 보면 생각의 속도가 천천히 문장에 맞춰 조율되는 순간이 있었다. 그때 느낀 건 이상한 평온함이었다. 7일차 : 아침 회의에서 내가 느끼는 집중력은 눈에 띄게 달라졌다. 대화의 맥락을 따라가는 능력, 마음이 한 곳에 머무르는 감각, 사소한 말에 감정이 반응하지 않고 한 박자 뒤에서 상황을 바라보는 여유가 생겼다. 이는 단순히 ‘책을 읽어서 똑똑해진 변화’가 아니라 뇌가 정보의 흐름을 천천히 처리하는 리듬을 회복한 변화였다. 퇴근길 변화 : 하루가 끝날 때, 독서는 마음을 정리하는 시간이 되었다. 뇌는 하루 동안 받은 감정과 정보를 자연스럽게 정리할 기회를 얻었다. 스마트폰은 긴장을 유지시키지만, 독서는 긴장을 풀어낸다. 퇴근 후 집으로 돌아오는 길은 더 이상 ‘흘려보내는 시간’이 아니었다. 그 시간은 하루를 정돈하는 의식이 되었다. 2주차 : 이 시기부터 삶의 전반적인 속도가 느리게 변했음을 느꼈다. 급하게 반응하지 않는 마음, 한 박자 쉬고 생각하는 뇌, 그리고 무엇보다 하루를 내가 주도하고 있다는 감각. 이 실험은 집중력을 키운 것이 아니라 주의력을 되돌려준 실험이었다. 주의는 항상 있었지만, 너무 오래 흩어져 있었을 뿐이다.
우리가 하루를 통제하고 있다고 느끼려면, 그 하루의 시작과 끝을 스스로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출퇴근 시간은 누구에게나 주어진 반복의 시간이고, 그 반복 속에 의식을 넣을 수 있다면 그것은 삶 전체의 리듬을 바꾸는 지렛대가 된다. 실천 방법은 어렵지 않다. 1. 스마트폰을 가방 깊숙이 넣는다. (손이 닿지 않게) 2. 책은 얇아도 좋다. (중요한 건 ‘읽는 행위’이지 ‘지식의 양’이 아님) 3. 5분만 읽어도 된다. (시간이 아니라 ‘주의의 방향’이 핵심) 4. 기록하지 않아도 된다. (기록은 선택이지 의무가 아님) 5. 단지 ‘문장을 따라가는 나’를 허용하면 된다. 하루의 시작이 달라지면 하루가 달라지고, 하루가 달라지면 삶의 결이 달라진다. 그리고 정말로 달라지는 건, 마음이 다시 자기 속도로 돌아오는 순간이다. 출퇴근 시간 독서는 작아 보이지만, 그 작음은 아주 조용한 혁명이다.